Written by coh at home

[라즈베리파이] Headless 설정하기 본문

Advanced/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 Headless 설정하기

och 2023. 6. 13. 22:38

headless란 모니터, 키보드 등등 주변장치 없이 microSD card에 필요 정보를 설정하고 라즈베리파이를 부팅하는 것.

 

1. OS설치하기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서 image를 다운로드 후 실행.

-OS 32bit를 microSD card에 지정하고 설정에서 SSH enable, username과 password 설정 후 WRITE한다.

default는 password가 raspberry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설정에서 접속할 wifi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것은 굳이 안 해도 된다. 

 

2. ssh, wpa_supplicant.conf 파일 만들기. 

wifi와 ssh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메모장을 켜고

-ssh란 이름으로 빈 file을 확장자 없이 생성한다.

-wpa_supplicant.conf파일에서 나는 참 많이 헤맸었다.

비대면 강의로 진행된 교수님의 설명이 country=KR로 진행하라고 했는데

country=KR로 하면은 이상하게도 wifi연결이 안 된다. ssh로 접속이 되지 않아서 

내가 잘못한줄 알고 진짜 10번은 깔았다 지웠다 한 것 같다. 

 

country=US

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

update_config=1

netwrok={
    ssid="와이파이이름"
    psk="와이파이비번"
    scan_ssid=1
}

 

이후 두 개의 파일을 OS image가 설치된 폴더에 넣어주면 된다.

 

3. 이후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 삽입 후 부팅하면은 설치가 진행된다.

이후 와이파이 연결된 것을 확인하고 ssh로 해당 ip에 접속하면은 된다.

 

ip를 알아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텐데 나는 공유기 ip로 접속하여 접속단말기 아이피를 확인하여 진행했다. 

 

 

+ 이후 만약 pc 모니터에서 GUI환경으로 진행하고 싶다면 ssh 접속 후 sudo raspi-config -> interface option -> VNC > enable하면은 된다. 

 

+cannot currently show the desktop 에러가 발생 시.
해상도를 설정하지 않아서 발생한 에러로 sudo raspi-config로 들어간 후 display option -> resolution -> 해상도 선택 -> sudo reboot해서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