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coh at home
[DC]Device 본문
Network Layer의 기본장치는 Router
Datalink Layer의 기본장치는 collision domain이 두 개면 bridge. 그 이상이면 switch
Physical Layer의 기본장치는 2개의 host간의 연결이면 Repeater. multiport repeater이면 hub.
hub의 물리적 topology는 star형이지만 논리적으로는 bus형이므로 Collision Domain은 하나이다.
그리고 상위 계층의 장비들은 하위계층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예컨데 라우터로 repeater처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스위치는 당연히 1계층 역할로도 동작하고 2계층 역할로도 동작한다.
스위치는 스위치테이블을 갖고 데이터를 전달해주게 되는데
가장 처음에는 빈 테이블이었다가 Frame을 서로 전달해가면서 MAC주소가 스위칭 테이블에 업데이트가 된다.
이를 Learning Switch라고 한다.

근데 learning switch는 loop이 형성되면 문제가 생긴다. link를 따라 데이터가 전송될 텐데 loop이 생기면 2배로 전달 되어 스위칭 테이블이 두 번 업데이트 되기 때문. 그래서 minimum spanning tree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CS > DataCommun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Media Access Control (0) | 2023.07.22 |
---|---|
[DC]Data link Protocol : Stop and Wait protocol (0) | 2023.07.21 |
[DC]Data Link-Layer (0) | 2023.07.21 |
[DC]Transmission media & switch (0) | 2023.07.17 |
[DC]Physical Layer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