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coh at home

[DC]Introduction of Data Communication network. 본문

CS/DataCommunication

[DC]Introduction of Data Communication network.

och 2023. 6. 24. 14:59

첫 제목을 뭐로 지을까 정말 고민 많이 하다가 다음과 같이 지었어요ㅋㅋㅋㅋ

아무래도 이번 게시글에 가장 적절한 이름이 아니었을까 싶네요. 

 

1.Communication network

통신망 하면은 3가지 망이 있습니다. 

-Telecommunication network (1800후반)

-Broadcast Communication network (1920년대)

-Data communication network (1960년대)

 

전화망, 방송망, 데이터망.

우리는 이중에서 Data망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data는 무엇일까요. 그냥 value만 있는 것을 data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그냥 image file의 data, 오디오 파일의 data, 등등 그냥 수집한 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information은 이러한 data를 가공하거나 분석하여 의미를 부여하게 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매일 자정에 수집한 온도 data를 갖고 월평균 온도(information)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2.data communication에서의 기본적인 특징

(1) delievery (2)Accuracy (3)Timeliness (4)Jitter

 

우리가 음식점에서 음식을 배달시킨다고 생각하면 좋아요.

우선 배달이 가능해야겠죠(delivery). 그리고 주문한 음식이 정확히(Accuracy) 와야할 거예요.

근데 음식이 주어진 시간 내에 와야하고(Timeliness) 매번 배달 시킬 때마다 그 차이(Jitter)가 적을수록 좋을 것 같아요. 

Jitter는 좀더 풀어쓰면은 도착과 도착사이의 variation입니다.

 

이제 message(data information)이 전달되는 시스템 구조를 살펴볼게요.

 

메시지가 전달되는 구조들을 표현하는 방식은 책마다 다릅니다. 

정처기에서의 구조를 살펴보면요

 

DTE(data terminal equipment)는 주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출력 제어, 송수신 제어를합니다. 

DCE(data circuit equipment)는 DTE의 데이터를 통신회선에 적합하게 신호변환기능을 수행해요. MODEM, DSU, CODEC이 대표적 예입니다.

CCU(communication control unit)는 컴퓨터나 통신회선의 송수신되는 과정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역할이에요. 즉, 제어와 감시가 CCU의 역할이며 DTE의 제어와 헷갈리면 안됩니다.

컴퓨터는 DTE라고 봐도 된다고 저는 생각했어요. 그래서 데이터 송수신, 통신하드웨어, 입출력 등등을 제어합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3. network 의 성능

(1) 용어 

The throughput or bandwidth of a channel is the number of bits it can transfer per second. 즉, bit rate라고 봐도 될 것 같아요. 저는 사실 여기에서 bandwidth라길래 frequency bandwidth를 생각했는데 다른 용어였어요. 

 

컴퓨터에서 bandwidth는 bits per second

전자공학에서 bandwidth는 frequency가 전달될 수 있는 범위예요.

 

latency or delay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할게요.

 

(2) topology

데이터 망에서는 같은매체에서 high bandwidth, low latency를 원해요.

이를 위해서 적당한 topology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해요.

 

topology에는 Mesh, bus, star, ring 형태가 있고 두 개의 형태가 결합된 hybrid topology도 존재합니다.

mesh는 각 node들의 link가 빠짐없이 연결된 형태

bus는 각 node들이 매체를 공유하는 형태 (link를 공유한다고 말해도 될 것 같네요.)

star는 각 node들이 Hub를 통해 연결되는 형태 (제 생각에는 hub가 아니라 switch여야 할 것 같은데 이상하네요. 허브면은 물리적으로는 star topology이지만 논리적으로는 bus topology니까요!)

ring은 각 node들이 circle을 이룬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CS > DataCommun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Data Link-Layer  (0) 2023.07.21
[DC]Transmission media & switch  (0) 2023.07.17
[DC]Physical Layer  (0) 2023.07.17
[DC]OSI layer  (0) 2023.07.14
[DC]switched network and Protocol  (0) 202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