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26)
Written by coh at home
자바 지식기록. JVM, JDK, JRE 용어. java virtual machine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실행하기 위해선 기계어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이때 번역(컴파일)과 통력(interpreter)방식이 있다. 이것은 한번에 자국어로 번역해주느냐 실시간으로 통역해주느냐의 차이이다. 따라서 실행속도나 안정성에 차이가 있다. c/c++/자바는 compile해주는 언어에 속한다. 근데 이 번역본은 컴퓨터의 종류마다 번역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c/c++은 윈도우에서 컴파일 한 것을 맥북에서 돌릴 수 없다. 반면에 자바는 JVM이 번역본을 읽고 각 컴퓨터에 알맞게 실행하게 된다. 즉, JVM은 현지에 파견된 주방장이다. JRE, Java Runtine Environment JRE는 주방장이 파견되어 일하는..

Netpractice는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배울 수 있는 과제이다. 해당 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들이 사용된다. 1. subnet, subnetmask2. boradcast 주소3. IP address. # Network의 역사 : subnet의 등장 배경.네트워크는 컴퓨터 통신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이다. 집에 있는 노트북을 떠올려보자. 정처기 기준으로는 DTE, 데이터 종단기기라고 부르고 다른 용어로는 End Point 혹은 End node 혹은 host라고 한다. 데이터통신에선 host를 주로 사용하여 host라고 하겠다. 노트북이 공유기를 통해 wifi에 접속하게 되면 노트북은 IP주소를 할당받는다. IP주소는 쉽게말하면 도로명주소다.누군가 나에게 편지를 보낸다면 실제 도로명 주소를 ..
# Terminology 1. High Level Language. c언어나 베릴로그나 HLL이다. 피카소의 그림은 어떤 대상을 추상화한다. 그리고 그 대상을 보았을 때 사람같다와 같은 느낌이 든다. 사람이라는 대상을 표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이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HLL은 필수적인 요소로만 기능을 추상화한다. 예컨데 s = a + b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Digital Circuit은 Full Adder일 것이다. 로직게이트들을 그려야하는 그 귀찮은 과정을 그저 s = a+ b로 추상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2. Concurrency c언어와 베릴로그의 차이점은 concurrency이다. c언어는 순차적인 반면 베릴로그는 동시에 동작한다. 다만 내가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threa..

Network Layer의 기본장치는 Router Datalink Layer의 기본장치는 collision domain이 두 개면 bridge. 그 이상이면 switch Physical Layer의 기본장치는 2개의 host간의 연결이면 Repeater. multiport repeater이면 hub. hub의 물리적 topology는 star형이지만 논리적으로는 bus형이므로 Collision Domain은 하나이다. 그리고 상위 계층의 장비들은 하위계층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예컨데 라우터로 repeater처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스위치는 당연히 1계층 역할로도 동작하고 2계층 역할로도 동작한다. 스위치는 스위치테이블을 갖고 데이터를 전달해주게 되는데 가장 처음에는 빈 테이블이었다가 Fr..

제목은 Data link layer의 기능 중 하나이다. Multiple Access Protocol은 3가지로 나뉜다. 1. Random Access Protocol 2. Controlled-access Protocol 3. Channelization protocol Random Access Protocol은 contention-based protocol이라고도 하며 1. ALOHA 2. CSMA/CD : 유선LAN 3. CSMA/CA : 무선LAN 이렇게 3가지 프로토콜이 있다. 이 프로토콜의 특징은 노드의 우선순위가 없고 다른 노드를 컨트롤 할 수가 없다는 것과 매체의 상태에 따라 보낼지 말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Stop and Wait Protocol은 매체의 상태와 관계없이 보냈었다. -ALO..